IOPS

  • IOPS = Input/Output Operations Per Second

  • 즉, 초당 몇 번의 입출력(읽기/쓰기)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

  • 스토리지(디스크) 성능을 측정할 때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

📌 쉽게 비유

  • 디스크를 도서관이라고 생각해 보세요.

  • IOPS = 사서가 1초에 몇 권의 책을 찾아줄 수 있는지

  • Throughput(처리량) = 책을 옮기는 속도(무게/크기 단위)

  • IOPS는 작은 파일을 얼마나 빠르게 많이 처리할 수 있는가를 의미합니다.

📌 IOPS의 특징

  • 작업 단위는 보통 4KB 블록

    • • AWS EBS 기준 성능 측정은 기본적으로 4KB 블록 사이즈를 기준으로 함

  • 랜덤(Random) vs 순차(Sequential)

    • • 랜덤 I/O → 작은 데이터를 여기저기서 동시에 읽고 쓰는 작업 (DB, 트랜잭션 시스템)

    • • 순차 I/O → 큰 파일을 차례대로 읽고 쓰는 작업 (로그 저장, 빅데이터 분석)

  • 스토리지 타입별 차이

    • • HDD: IOPS 낮음 (물리적 디스크 헤드 이동 한계)

  • • SSD: IOPS 높음 (랜덤 액세스 빠름)

📌 AWS에서의 IOPS

  • gp3 (범용 SSD): 기본 3,000 IOPS, 최대 16,000까지 확장 가능

  • io1/io2 (고성능 SSD): 수만 ~ 수십만 IOPS까지 제공, 미션 크리티컬 DB용

  • st1/sc1 (HDD): 수백~수천 IOPS, 순차 처리 위주

✅ 한 줄 요약

  • IOPS = 디스크가 1초에 처리할 수 있는 입출력 작업 횟수

  • 작은 파일 처리 성능을 나타내며, DB 성능과 직결됨

Last updat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