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n Demand

🟢 On-Demand 뜻 (초보자 버전)

필요할 때 바로 쓰고, 쓴 만큼만 돈을 내는 방식을 말해요.

예시 들어볼게요:

  • 📞 전화 요금제 비교

  • 정액제(월 5만 원 무제한): 많이 쓰든, 적게 쓰든 요금 똑같음.

  • 종량제(On-Demand, 통화 1분 = 100원): 필요한 만큼만 쓰고 요금 지불. → 클라우드는 이 방식!

🔵 AWS에서 On-Demand 예시

  • EC2 On-Demand Instance

  • 서버를 1시간만 켜면 1시간 요금만 냄.

  • 미리 계약(예약)하지 않아도 됨.

  • 테스트 환경 만들었다가 몇 시간 뒤 꺼버리면, 그 시간만 비용 청구됨.

  • S3 스토리지

  • 저장한 데이터 1GB당 요금.

  • 필요할 때 저장하고, 삭제하면 요금도 사라짐.

🟠 왜 중요한가?

  1. 초기 비용 없음 → 장비를 사지 않아도 됨.

  2. 유연함 → 갑자기 사용량 늘어나도 즉시 확장 가능.

  3. 실험하기 좋음 → 잠깐 써보고 버려도 돈 낭비가 거의 없음.

👉 정리하면: On-Demand = “쓰는 만큼만 내는, 즉시 사용 가능한 서비스”

Last updated